출처 http://www.eso.org/gallery/v/ESOPIA/Paranal/phot-33a-07.tif.html
위 사진은 2007년 7월 칠레의 파라날 천문대에서 찍은 은하수의 사진이다. 태양계는 은하수에 속하여 있다. 은하수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3000억개가 있다고 과학자들은 추산한다. 다시 우주에는 은하수와 같은 은하체(Galaxy)가 약 2000억개 있다고 추측한다. 지금 우주가 137억년전 발생한 빅뱅으로 인하여 한 점에서 생겨났다고 생각하는 것은 과학계의 정설이다. 그리고 우주는 계속하여 팽창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하고 그 연구 결과로 3명의 과학자가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
은하수는 직경 11만 광년(빛이 1년가는 거리가 광년으로 약 9조5천억 km)의 원반 모양으로 되어 있다. 태양은 은하수 중심에서 비교적 가까이 있다. 그러나 은하수 안에 빈 공간이 많아 태양과 같은 항성간의 거리는 상당히 된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이 알파 센타우리(Centauri) A, B. C 라는 별이다. 알파 센타우리 A, B는 서로 가깝게 공전하는 이중성으로 태양과 거의 비슷한 크기로 태양에서 거리는 약 4.37광년이다. 알파 센타우리 C(센타우리 프락시마라고도 한다)는 알파 센타우리 A, B 를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돌고 있는 적성 왜성이라고 불리우는 태양보다 작은 별로 태양에서 거리는 4.24 광년으로 가장 가까운 항성이다.
2012년 10월 17일 유럽의 과학자들이 알파 센타우리 B에서 지구 크기의 행성을 발견하였다고 발표하였다. 행성을 발견하는 원리는 2012년 6월 금성이 태양을 지나가는 사건에서처럼 행성이 항성을 가리고 지나가면서 생기는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다만 이번에 알파 센타우리 B에서 발견된 행성은 항성과의 거리가 600만km로 너무 가깝고 3.2일만에 공전을 한다. 참고로 지구는 태양에서 1억5천만km 떨어진 거리에서 365일 주기로 돌고 있다. 따라서 이번 발견된 행성은 표면 기온이 약 2000도까지 오르는 높은 기온으로 생명체가 살 수 있지 못하다.
그러나 이번 발견으로 알파 센타우리 A, B, C, 에서 생명체가 있을 수 있는 물이 액체로 있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러한 행성은 항성에서의 거리가 더 멀어 현재 지구 과학 기술로 발견하기 어려운 것이다.
출처 NASA
참고로 미국 우주항공국(NASA)는 태양계외에서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을 추적하기 위한 "Space Interferometry Mission"을 추진하여 위 상상도와 같은 관측기구를 우주에 올리려고 계획하였으나 미국 정부의 예산부족으로 2010년 취소되고 말았다.
만약 인류의 과학기술이 진보되어 태양계외로 탐사를 나설 경우 제일 먼저 후보지로 꼽히는 곳이 알파 센타우리 A, B, C이다 반대로 그 곳에 인류보다 더 기술수준이 높은 고등생명체가 있을 경우 태양계나 지구를 탐사하러 올 수도 있다. 우주의 고등생명체와 전파로 교신하려고 하는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외계 고등지능연구단체)"에서는 향후 알파 센타우리를 항하여 더 많은 전파 신호를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2010년 스티븐 호킹 박사가 우려한 것처럼 알파 센타우리에 인류보다 더 고등 기술을 가진 생명체가 있고 지구에 도착하여 적대적인 행동을 할 경우 비극적인 결과가 생길 수도 있다.
과연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알파 센타우리 A, B, C의 행성에 고등생물이 살 것인지 아직 독자의 상상에 맡긴다. 그러나 우주에서 인류만이 유일하게 고등지능을 가진 생명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리이다. 위에서 계산한 것처럼 은하수에만 태양과 같은 항성이 3000억개가 있고 다시 우주에는 은하수와 같은 은하체가 2000억개가있다. 만약 항성중에 고등생명이 진화하는 행성이 있을 확률을 백만불의 일이라고 하더라도 우주에는 엄청나게 많은 고등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
우주과학은 인류가 우주에서 어떠한 존재인 가를 알려고 하는 기본적인 호기심을 해결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과학기술의 가장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이다. 우주탐사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들이 실제 인류의 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자연자원이 부족한 대한민국도 우주과학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성 북극에 확인된 얼음의 존재는 무엇을 의미할까? (0) | 2012.12.03 |
---|---|
남극대륙의 염호에서 발견된 미생물의 존재가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높인다. (0) | 2012.11.28 |
나도 젊어서는 노벨상을 받는 꿈이 있었다. (0) | 2012.10.10 |
2012년 노벨의학상 수상을 보면서 대한민국의 과제를 생각한다. (0) | 2012.10.08 |
NASA의 탐사선이 화성의 생명체 존재를 밝혀낼 것인가? (0) | 201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