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는 이제 전세계 기후 이변을 일으키는 심각한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2011년에도 전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속출하여 더 이상 그러한 기상이변을 이변이라고 부르기 어려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에 대해 자세한 것은 이 블로그의 글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상이변은 더 이상 이변이 아니다 " 참조 http://blog.daum.net/shkong78/1087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에는 메탄이나 과거 냉매로 사용되던 불화가스 등도 있다. 그러나 아직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산화탄소이다. 2011년 9월 21일자 유럽 연합에 소속의 "지구 대기 연구를 위한 배출가스 집계 연구소( Emissions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EDGAR]) "의 발표에 의하면 1990년과 2010년 사이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5% 증가하여 2010년 기준으로 330억톤을 배출하여 역사적 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http://edgar.jrc.ec.europa.eu/index.php
선진국을 보면 EU소속 27개국이 1990-2110년 사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7% 줄이고 특히 러시아는 같은 기간 28%를 축소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미국이 같은 기간 5% 배출량을 늘리고 일본의 경우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한다.
쿄토의정서를 서명한 선진국가와 미국은 1990년에는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3를 차지하였으나 2010년에는 반 이하로 줄었다. 반면 중국, 인도와 같은 후발개발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계속 늘고 있는 것이다. 2009년과 2010년 사이 중국과 인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각 10%, 9%로 크게 증가하였다.
다만 국민 일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미국이 16.9톤으로 가장 높아 EU-27개국 평균인 8.1톤의 두배가 넘는다. 반면 중국은 일인당 6.8톤으로 EU-27개국의 평균보다 낮은 이탈리아 수준이라고 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의 출처는 발전용이 40%, 운송용도가 15%로 가장 크고 위 부분은 전세계적으로 매년 각 2.5% 및 5%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쿄토의정서를 체결한 선진국들은 1990년부터 2010년 사이를 기준으로 석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를 25%에서 20%로 줄이고 석유에 대한 의존도 38%에서 36.5%로 줄이면서 천연가스에 대한 비중을 23%에서 27%로 , 원자력 비중을 8%에서 9% 그리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6.5%에서 8%로 늘리면서 또한 건물의 내열을 높이거나 연비가 높은 차나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전기기구를 사용하는 등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노력을 한 것이다.
다만 이러한 선진국들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 인도 등의 개발도상국 등에서 발전과 운송부분의 이산화탄소 배출 증가가 더 큰 작용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 통계에서 나타나듯이 중국이 일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미국의 반이나 EU-27국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라는 무리한 압력을 행사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선진국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더 줄이면서 개발도상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증가율도 줄이므로써 세계 전체로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이상 늘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전세계 경제위기 상황에서 선진국을 포함한 각국의 재정이 좋지 아니한 상황에서 에너지 단가가 높아 정부 보조가 필요한 재생에너지의 추가 보급에도 한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인위적으로 지구기온을 낮추는 "지구공학(Geo-engineering)"도 고려하여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지구공학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그 농도를 줄이거나 성층권에 이산화황의 에어로졸 개스를 방출하여(참고로 20여년전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이 대기중에 이산화황을 대량 배출하여 2년간 지구 전체 기온이 0.5도 정도 낮아졌다고 한다)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나 지구상에 태양광이 덜 오기 위한 우주 거울을 장착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2011년 7월 28일 미국 예산처에서 발간한 보고서 결과에 의하면 지구공학을 본격적으로 시험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내고 있다. http://www.gao.gov/products/GAO-11-71 비용 대비 효과도 불확실하면서 지구 국지적으로 가뭄이나 냉해 등의 기상이변이 일어날 경우 생기는 부작용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것이 주된 이유이다.
지구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선진국 뿐 아니라 개발도상국들도 관심을 가지고 UN주도하에 "발리 액션 플랜"이나 "칸쿤 협약"등에서 제안된 의제를 가지고 향후 전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내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도 추가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라는 국제적인 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재생에너지 사업 및 각종 에너지 절약 기술을 산업적으로 더 과감하게 육성하고 실천하는 방안을 수립하여 실행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과학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 노벨 물리학상은 "빅뱅"에서 시작한 우주가 계속적으로 팽창한다는 연구에 수여되었다. (0) | 2011.10.05 |
---|---|
광속보다 빠른 소립자로 시간여행이 가능할까? (0) | 2011.09.24 |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기상이변은 더 이상 이변이 아니다. (0) | 2011.09.15 |
초신성과 안철수 (0) | 2011.09.08 |
화성에는 지금도 물이 흐르고 있다. (0) | 201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