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29일 충남 아산에서 열린 ‘영재리더십 캠프’에서 소외계층 영재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제로 강의를 한 임지순 교수 가 학생들에게 사인을 해준 뒤 악수하고 있다. [아산=프리랜서 김성태] |
|
|
“초등학교 때 10년 후 내 모습을 상상해서 적은 글을 상자에 넣어 마당에 묻었어요. 이사 다니는 바람에 잃어버렸지만 생각해보니 그게 ‘타임캡슐’이었어요. 꿈을 현실로 만들어 준 타임캡슐.”
국내 과학자 중 가장 유력한 노벨상 후보로 꼽히는 임지순(58·서울대 천체물리학부) 교수. 그는 타입캡슐을 찾지는 못했지만 캡슐에 간직한 ‘과학자’의 꿈을 이뤘다고 말했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그의 말은 49명의 소외계층 영재들 가슴에 타임캡슐처럼 자리 잡았다.
29일 충남 아산시 한국금융투자교육원에서 열린 ‘영재리더십 캠프’. 가정 형편 때문에 사교육 한번 받지 못했지만, 타고난 능력을 갖고 있는 영재들에게 자기 계발의 기회를 주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마련했다. 16개 시·도교육청에서 선발된 중학생 49명이 28일부터 3박4일 일정으로 참가했다. 한 부모나 조부모와 살고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임 교수는 ‘리더와의 만남’이란 주제로 연단에 섰다. 나노기술을 이용한 수소 저장 연구로 바쁜 그이지만, 학생들에게 희망을 심어준다는 취지에 흔쾌히 응했다.
전남 고흥군 점암 중앙중학교 2학년 박지웅(15)군은 농사일을 하는 조부모와 살지만 전남 과학경진대회에서 2년째 동상을 받았다. 그는 “할아버지·할머니가 연로해서 언제까지 공부할 수 있을지 불안하다”며 “강의를 듣고 나니 끝까지 노력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임 교수가 노력 못지않게 창의력도 중요하다며 수소 저장 물질의 연구 과정을 소개하자 학생들의 눈빛이 더욱 반짝였다.
“전깃줄에 빽빽이 앉아 있는 참새를 봤어요. 그때 기체인 수소를 참새처럼 모아놓을 수 있는 전깃줄 같은 물질을 만들면 수소의 에너지화가 가능하다는 생각을 했죠. 그게 연구의 발단이 됐어요.” 임 교수의 말에 학생들은 힘차게 박수를 쳤다.
그는 “달에 줄 달린 로켓을 발사해 지구와 달을 줄로 연결하면 지구와 달을 오가는 케이블카를 만들 수도 있다”며 “과학은 그런 상상력에서 출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 나주의 남평중학교 2학년 이재영군은 “누나들과 떨어져 살고 있지만 캠프에 와 보니 나만 어려운 게 아니라는 걸 알았다” 고 말했다.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센터의 김미숙 소장은 “영재교육 대상자 중 소외계층 자녀는 3700여 명으로 이들은 상급 학교로 진학할수록 영재교육을 받을 가능성이 작아진다”며 “가난 때문에 영재교육에서 소외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49명의 학생은 4일간의 교육이 끝나는 31일 각자 꿈을 담은 ‘미래일기’를 타임캡슐에 담는다. 점암 중앙중학교의 박군은 “훌륭한 화학자가 돼 세상을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고 싶다는 꿈을 담겠다”고 했다. 이 타임캡슐은 35년 후 개봉한다.
아산=정현목 기자, 사진=프리랜서 김성태 |
|
|
|
임지순교수는 개인적으로 친하게 지내고 있다. 서울대 물리학과뿐 아니라 버클리 대학 박사과정 선배이시기도 하다. 그리고 나노튜브 관련하여 임지순교수는 연구에 나는 사업화에 관심을 많이 가진 바 있다.
임지순교수가 노벨상 후보로 언급되는 가장 큰 업적은 나노튜브가 반도체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밝힌 것이다. 전형적인 학자로 연구에만 몰두하고 살아오신 분이다.
우리나라가 원천 과학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계속 국민들에게 홍보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부에서 멀리 보고 기초과학기술연구에 더 지원할 필요가 있다.
공부를 잘하면 자녀가 다 의대 법대를 가는 것을 기대하는 일부 기성세대의 입장을 현실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꿈만 찾아 자기 연구를 하는 과학기술자가 충분한 대우를 받지 못하고 불안한 경제적 지위를 가질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멀리 보아서 선진국으로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는 젊은 세대가 꿈을 가져야 된다. 위 모임과 같은 행사가 홍보적인 일회성 행사가 아닌 국민을 홍보시킬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