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중남미에 한국 ‘녹색 영토’ 만든다

공석환 2009. 11. 10. 15:44

중남미 지역에서 대규모 땅을 매입해 조림지를 조성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그동안 해외 조림지 조성은 대부분 동남아에서 땅을 빌리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직접 매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9일 15개 부처 합동으로 ‘한·중남미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 실무협의회를 열어 중남미에서 조림 사업을 하기 위해 토지 매입을 하는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주 열린 대외경제장관 대책회의에서 자금 지원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키로 결정했고, 이날 실무협의회에서 규정을 바꿔 내년부터 자금을 지원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우선 내년 중 정부는 파라과이와 우루과이 조림지 매입에 299억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들 지역에서 포스코와 이건산업·대상홀딩스·LG상사 등이 조림지 조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우루과이에서 2만㏊를 매입해 이산화탄소 배출권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직접 땅을 사들이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우루과이와 산림협력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연말에 파라과이와 조림투자 세미나를 여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받으려면 최소 20년 이상 장기 사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자기 땅에 하는 것이 좋다”며 “외국에 한국의 녹색 영토를 만드는 셈”이라고 말했다.

최현철 기자


과거 아르헨티나에 식량확보를 위한 땅을 사서 경쟉하는 계획을 하였다가 사전 조사의 불충분으로 적합하지 아니한 땅을 사서 실패한 경우가 있었다.

지금 탄소배출권 확보를 이유로 하는 조림사업은 바람직한 시도라고 본다. 특히 야자나무나 자트로파와 같은 바이오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종을 중남미에 식재하려고 노력하는 기업들이나 개인들이 이미 다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정부가 그러한 노력을 지원하겠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의할 것은 중남미가 과거 스페인의 지배를 받았다가 독립을 하였기 때문에 자존심이 강하고 사회주의적인 경향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현지 사람들을 단순 노동자로 사용하려 하는 경우 노조가 생겨서 어려운 적이 많다고 한다 현지인에게 땅을 다시 빌려 주어 관리를 하게 하고 그 수확물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더 현명한 방법이라고 한다.

지금 이 기사제목인 "녹색영토"라는 표현도 매우 부적절하다. 중남미 사람들이 알면 식민지의 인상을 주기 때문에  질겁할 표현이다. 비록 중남미 국가의 일부 땅을 우리가 매수하더라도 "녹색협력지"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실제 현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 이러한 기회는 중남미뿐 아니라 아프리카에도 존재한다. 필자가 콩고민주공화국을 민관사절단의 일원으로 방문하였을 때 그 광활한 지역을 보면서 일행중 한 사람이 과거 벨기에가 그 땅을 식민지로 가지고 있었던 것 같이 우리도 이러한 식민지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표현을 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제 우리가 다른 나라를 식민지로 할 기회는 없다. 현지 국가들과 서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장기적인 비젼을 보여주면서 협력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