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11일 일어난 일본 대지진의 피해는 점점 늘어져 가면서 전세계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고 있다. 지진에 대비한 준비가 철저하고 위기 상황에 질서있게 대응하는 일본의 조치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진후 냉각수 공급이 불충분하여 발생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어나 폭발사고와 그로 인한 방사능 누출은 그 것이 천재인지 아니면 원자력 발전소 설계, 시공, 관리 상에서 하자가 있었는지 다시 생각해 보게 한다. 일부에서는 지진대비 설계는 충분하였으나 일본 관료나 건설업계의 부패로 시공이 잘 못되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불행한 사고의 원인을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러한 일본의 사태를 보면서 미국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의 위기대응 절차를 다시 점검해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그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된 기사 참조. 대한민국도 원자력발전소의 전반적인 안전을 다시 확인하여 볼 필요가 있다.
이 시점에서 중국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운영에 안전성 문제를 다시 심각하게 생각하여 보아야 한다. 중국은 2011년 현재 4개의 원자력 발전소에서 총 13개의 원자력 반응기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27개의 원자력 반응기를 건설중으로 2020년까지 전기생산량중 원자력 발전에 대한 비율을 연재의 1프로에서 6프로로 올리려 하고 있다.(참고로 미국의 원자력 발전 의존율은 2008년 기준 20프로이다).
http://en.wikipedia.org/wiki/Nuclear_power_in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 참조
현재 중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원자력 발전소 4곳은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면서 해안 가까이 큰 도시에서 멀지 아니한 곳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건설중인 원자력 발전소의 경우는 양자강 유역의 내륙에 위치한 곳도 있다.
중국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정에서 안전보다는 비용 및 공기단축에만 집중하면서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운영에 대한 우려가 높아 지고 있다. 2009년에는 "중국 국립 원자력 발전회사"의 사장인 리싱 캉이 원자력 발전소 건설 수주과정에서 2억6천만불(약 3000억원)의 부패사건에 연류되어 조사를 받은 적이 있었다. 자세한 것은 아래 링크된 기사 참조
이번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폭발과정에서 수십만명이 대피하고 일본의 수도인 도쿄에도 방사능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바람이 태평양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의 영향은 크지 아니하다.그러나 향후 중국의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고가 일어날 경우 주위 인구밀집지역에서 큰 피해가 일어날 뿐 아니라 황사현상과 같이 편서풍을 타고 대한민국에도 방사능 물질이 날라 올 우려가 있는 것이다.
중국 경제발전과정에서 전력부족과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한 문제를 고려하여 중국의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취소 또는 미루어질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이제라도 일본의 사태를 보면서 중국이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및 운영과정에서 안전관리 시스템을 다시 점검하여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가 폭풍이나 홍수를 더 많이 일으킨다. (0) | 2011.05.11 |
---|---|
오사마 빈라덴의 사망과 향후 전망 (0) | 2011.05.03 |
일본 대지진의 여파를 보면서 대한민국도 화합을 추구해야 한다. (0) | 2011.03.13 |
개가 사람을 먹으면 뉴스? (0) | 2011.03.05 |
리비아 사태와 대한민국 (0) | 201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