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프의 나스닥 상장을 보며 새롬기술이 생각난다. 대표적인 인터넷 전화 무료 서비스 업체인 스카이프(Skype)가 미국 현지 시간 2010년 8월8일 나스닥 상장을 신청하였다고 한다. 상장후 회사가치에 대한 정확한 산정은 아직 나오지 아니하였다. 상장신청서에는 1억불(약1170억원)으로 되어 있는데 그 것은 초기 신청에서 형식적인 가치평가에 불과하다. 스.. 과학기술 2010.08.10
충돌하는 은하계의 신비한 모습을 보면서 출처 NASA 지구에서 6200만 광년(빛의 속도로 1년가는 거리)에 있는 2개의 다른 은하계가 충돌하는 영상의 모습이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NASA는 위 사진에 보이는 충돌하는 은하계들을 "안테나(Antennae)"로 이름을 붙였다. 충돌에 의해 간조처럼 밀려난 부분이 안테나 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 과학기술 2010.08.08
슈퍼맨의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출처 capedwonder.com 미국에서 슈퍼맨은 1930년대 미국에서 만화로 등장한 캐릭터이다. 1978년 리챠드 다너가 감독하여 크리스토퍼 리브스가 주연한 영화가 크게 히트하여 위 사진에 보이는 이미지가 슈퍼맨의 대표적인 모습으로 사람들에게 남아 있다. 위 사진의 출처인 capedwonder.com은 크리스토퍼 리브스.. 과학기술 2010.08.01
전세계 숲의 높이 지도 NASA(미국 우주 항공국)에서 세계 최초로 전세계 숲의 높이를 측정한 지도를 만들었다. 위 그림이 그 내용이다. 짙은 부분일수록 나무의 높이가 높다. 위 그림은 아래 링크에서 가져온 것이다. http://www.nasa.gov/topics/earth/features/forest-height-map.html 이러한 숲의 높이를 측정한 이유는 지구온난화를 막는 방법.. 과학기술 2010.07.27
오이는 히말라야에서 기원하였다. 오이 (출처 위키미디아 공용) 오이는 여름에 많이 먹는 채소이다. 전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된다. 로마사람들도 오이를 즐겨 먹었고 우리나라 문헌에도 약 1500년전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이도 한반도에서 생겨난 것은 아니다.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부식인 김치에 .. 과학기술 2010.07.23
보잉의 무인관측 항공기(Phantom Eye) --> Content on this page requires a newer version of Adobe Flash Player. --> 미국 보잉사가 현지 날자 7월 12일에 무인 수소추진 항공기 "팬텀 아이(Phantom Eye)"를 선보였다. 비디오를 보면 그 제작이나 용도에 관한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http://www.boeing.com/Features/2010/07/bds_feat_phantom_eye_07_12_10.html). Bruce Becker/Boeing 이 무인 관.. 과학기술 2010.07.16
녹조(Algae)로부터 수소를 추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중의 하나인 바이오연료에서 멀리 보아 가장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은 녹조(Algae)를 이용한 것이다. "MIT가 선정한 2010년 10대 혁신기술"에도 녹조를 이용한 차세대 바이오 연료가 포함된 바 있다. 이 블로그의 글 http://blog.daum.net/shkong78/663 참조 그 이유는 단위면적.. 과학기술 2010.07.13
전기차 태양전지 충전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이산화탄소나 기타 도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하여 전기차를 보급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전기차의 도입 과정에서 기술적으로는 바테리의 성능 및 가격 그리고 전기차의 충전시설이 문제된다. 대부분의 전기차가 한번 충전하여 200-400km의 거리.. 과학기술 2010.07.10
담배꽁초를 방청제로 만들 수 있다. By Carolyn Kaster, AP 중국 시안 쟈통 대학(Xi'an Jiaotong)의 전 쟈오(Jun Zhao) 등이 미국 화학협회지(American Chemical Society)에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담배꽁초에서 추출한 물질이 철을 보호하는데 쓰일 수 있다고 한다. 원문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된다. http://pubs.acs.org/stoken/presspac/presspac/full/10.1021/ie100168s?cookieSet=.. 과학기술 2010.07.09
적도의 만년설이 사라지고 있다 Picture taken by Muhammad Mahdi Karim in Moshi, Tanzania, June 2009(2009-06) 위키미디아 공용으로 되어 있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적도의 만년설로 가장 유명한 것이 5892m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킬리만자로산이다. 헤밍웨이의 소설 "킬리만자로의 표범"으로 유명하여 졌다. 그 꼭대기에 만년설이 과거 모자처럼.. 과학기술 2010.07.03